튼튼한 지도부·조합원들에 먼저 다가설 것
전력그룹사 노조 협의 통해 공동 대응해야

발전노조 4대 위원장으로 박노균씨가 선임됐다. 4대 발전노조 집행부는 박노균 신임 위원장은 신현규 수석 부위원장과 이석정 사무처장으로 구성됐다.
지난 9.4파업 이후 조합원간의 반목을 추스르고 최대한 한 마음을 갖도록 하겠다고 밝힌 박노균 신임 발전노조 위원장을 만나 향후 발전노조의 미래를 짚어봤다.

“우선 저를 발전노조 위원장으로 지지해주신 조합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저에게 여러 조언을 해준 발전노조원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지난 2006년 9.4파업 이후 어수선한 분위기의 각 지부를 추스르는 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 11일 조합원 총 투표에서 총 선거인수 6730명 중 6287명이 중앙위원장 선거에 참여했으며 박노균 후보는 54.9%인 3450표를 얻어 4대 발전노조 위원장으로 선출됐다.

4대 발전노조 중앙위원장에 선출된 박노균 신임 위원장은 선거 공약에서 ▲공기업 사유화 저지 범국민대책본부 구성 ▲발전소 매각정책에 대한 사회적 저항 확산 등 전조직적 공공투쟁 강화 ▲의견·행동 통일 및 확산 ▲철도·가스 등 매각대상 사업장 공동투쟁대책본부 구성 ▲민주노총 차원의 사유화 저지 투쟁본부 구성 등을 내세운 바 있다.

이와 함께 박노균 신임위원장은 노동조건 후퇴없는 튼튼한 복지, 노사협의회 안건 통일 5개 본부 동시 추진 등을 진행할 뜻을 밝힌 바 있다.

“사실 9.4파업 이후 각 지부간 불신의 골이 길어진 것이 사실입니다. 이 조직들을 추스르지 않고서는 어떠한 것도 하기 힘들다고 봅니다. 사실 이번 선거에서는 각 후보별로 공약이 쟁점이 되지 않았던 게 사실입니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후 공기업 민영화에 대해 정부와 맞대응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우선 발전 노조 조직을 재정비해서 흩어져 있는 마음들을 하나로 이끌어 나갈 것입니다.”

사실 발전노조는 지난 2002년 38일간의 총파업 이후 2006년 9.4파업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으며 사실상 전력관련 노조와는 달리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왔다.

“제가 이번 발전노조 위원장에 출사표를 던지면서 중앙본부에서 각 지부별로 자주 방문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무조건 본부의 정책에 따르라’고 강요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먼저 조합원들에게 다가갈 것입니다.”

박노균 위원장은 공기업 민영화와 관련, 전력노조, 한수원 노조 등이 충분한 논의를 통해 함께 가야 한다는 뜻도 밝혔다.

“발전노조는 발전회사의 재통합을 주장해왔습니다. 발전회사의 민영화가 전면 중단된다면 발전·송전·배전·판매 부분 등 모든 것이 하나로 뭉쳐진 체제로의 복귀를 주장할 것입니다. 대정부 정책 건의 및 대안 제시를 위해 본부뿐만 아니라 지부별로 충분한 논의와 검토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박노균 위원장의 머릿속에는 발전회사의 통합에서 벗어나 ‘하나의 한전’ 구상이 들어있는 듯 했다.

전력노조가 한국노총, 발전노조가 민주노총으로 상급단체가 다른 상황에서 전력연대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박노균 위원장은 “전력연대 부분도 전력노조, 한수원 노조, 타 자회사 노조와 충분히 이야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라며 “전력연대는 기본적으로 전력그룹사 노조가 기본적인 틀에 동감하고 있어 각 노조별로 만나서 이야기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노균 위원장은 조만간 발전회사 간부들과 면담을 통해 향후 노사간에 충분한 대화를 하겠다는 뜻도 내비췄다.

박 위원장은 “말로만하는 투쟁으로는 현재의 어려운 상황을 해쳐나가기 힘들다”라면서 “발전소 매각 저지, 공기업 사유화 저지 등을 공동 대처해 나가기 위해 튼튼한 발전노조 지도부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노균 4대 발대노조 위원장은 서울 동북고 출신으로 90년에 한전에 입사해 서인천복합화력지부장, 초대 남부발전 노조본부장을 지냈으며 2002년 3월 총파업 관련으로 해고됐다 2004년 12월 복직됐다. 이후 2006년 9.4파업과 관련 해고됐다 지난해 5월 다시 복직됐다.

한편 4대 발전노조 집행부는 박노균 신임 위원장은 신현규 수석 부위원장과 이석정 사무처장을 파트너로 구성됐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