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硏, 변성기 국제규격 세미나 개최
규격체계 IEC 60044 시리즈서 IEC 61859 시리즈로 변경

▲ 전기연구원은 지난달 27일 안산분원에서 변성기 국제규격 개정 동향 세미나를 열고, △ IEC 변성기 관련 국제규격 개정 동향 △구축설비 중인 차량 이동형 초고압 대전류 변성기 오차시험설비 △IEC TC 38(변성기) 국제 활동 등에 대해 소개했다.

최근 변성기에 관한 국제규격이 대폭 개정되면서 국내 관련업계 및 사용자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전기연구원이 관련 동향을 소개하는 세미나가 개최, 관련업계 관계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한국전기연구원(원장 박동욱 www.keri.re.kr)은 지난달 27일 안산분원에서 변성기 국제규격 개정 동향 세미나(변성기 국제규격기술세미나 및 관련설비 구축안내)를 열고, △ IEC 변성기 관련 국제규격 개정 동향 △구축설비 중인 차량 이동형 초고압 대전류 변성기 오차시험설비 △IEC TC 38(변성기) 국제 활동 등에 대해 소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김언석 전기특성평가실장은 발전소, 변전소, 대수용가, GIS 등 중전기기 제조 및 설치 현장에서의 변성기 오차시험에 대해 소개했다.

이 오차 설비는 200kV 20000A 0.02급이며 현재 지식경제부 전력기반조성센터 인프라구축 과제로 구축 중에 있다.

김 실장은 “국내 수용가중에서 월 150억원이 전기료인 경우, 0.1%만 차이가 나도 1500만원”이라고 강조하고, “발전소나 변전소 등은 한번 설치하고 나면 구조상 어렵고 현장 이동형 장비가 없어서 그동안 정확한 시험이 어려웠다”며 이번 설비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실장은 “이 같은 시험을 통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고, 높은 신뢰성 잇는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실장은 또 이번 세미나에서 IEC TC 38 국제활동을 특히 강조, 눈길을 끌었다. 그는 “우리나라는 현재 O-멤버로 투표권이 없어 변성기 관련 국제규격이 활발히 제ㆍ개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의견이 반영하지 못해 안타깝다”며 “특히 전력 IT 연구개발 관련으로 우리나라 전자식 변성기는 세계적으로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만큼 빨리 P-멤버로 등급 조정하여 국내기술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기특성평가실 이종선 팀장은 이어 IEC 국제규격 기술적인 개정 동향에 관해 소개, 참석자들로부터 집중 조명을 받았다.

이 팀장은 “규격체계는 기존 IEC 60044 시리즈에서 IEC 61859로 개정되었으며, 분류도 보다 체계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주요 기술적 규격의 개정사항으로는 크게 △ 기존에 분류 되지 않았던 가스절연 변성기에 대한 요구조건이 자세히 추가 △ 기존 GIS 기준에 따라 붙여왔던 내부 아크 시험에 대해 정확한 시험방법 및 기준이 설정 △ IEC 60529에 따른 IP 보호등급 신규 추가 △ 단자대 등 도전성 파트의 부식시험(도체:염수분무, 페인트 부분 : 아황산가스) 신규 추가 등으로 바꿨다고 이 팀장은 소개했다.

이 팀장은 또 “추가적으로 IEC 검토문서에 따르면 모든 변류기에 단시간 전류 시험을 추가하자는 의견이 있는데, 이것이 반영되면 국내 제조업체의 비용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며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1차도체가 없는 붓싱용 CT(BCT)는 단시간 시험을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전기연구원은 이번 규격이 최종 확정되면 그동안 배전급에도 적용했던 내부아크 시험이 72.5kV 이상만 실시하게 돼 국내규격에 반영되면 배전급 변성기 제조회사는 시험비용이 대폭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대신 IP 보호등급, 부식시험 및 절연재료의 화재시험 등이 국내 규격에 반영되면 기업체의 새로운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대신 사용자는 더 좋은 제품을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LS산전 등 관련업체 관계자들은 “규격개정 확정 전에 세미나를 개최함으로써 국내 업체들의 사전 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입을 모았다.

전기연구원 전기기기평가부 전기특성평가실 김언석 실장 (031) 8040-4420  Email : oskim@keri.re.kr  이종선 팀장 (031) 8040-4423  Email : jslee@keri.re.kr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