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월 현재 전력거래소에 가입된 회원사는 총 46개사이다. 이중 한전과 한전의 발전자회사 7개를 뺀 39개 사가 한전에서 전기를 공급받지 아니하고,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해 사용하고 있고, 더 나아가 전력거래소를 통해 잉여전력을 판매하고 있다.

이처럼 민자발전사업자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지난 2001년 4월 발전분야에 경쟁개념이 도입된 후 1년이 지난 2002년 하반기부터다. 당시 민자발전의 확대 일로는 한전 자회사의 민영화와 한국의 전력시장 규제 완화 등의 시장변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까지 해석됐었다.

95년 11월 산업자원부(당시 통상산업부) 주도로 추진된 민자발전사업이 표류를 거듭해 온 가운데 민자발전사업자의 꾸준한 전력시장 진입은 현재의 민자발전 사업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줄 것으로 보였다. 특히 그동안 한전과의 전력구매계약(PPA)을 통해 전력을 공급해왔던 포스코 등이 한전과의 계약이 끝남에 따라 잉여 전력분을 전력거래소를 통해 팔게 되면서 치열한 가격경쟁이 벌어지는 전력시장 개설이 멀지 않았음을 예견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새로운 민자발전회사, 특히 대규모 민자사업자들의 탄생이 보이지 않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해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는 장치산업인 발전회사를 설립할 엄두가 나지 않는 것이 첫 번째 이유이고, 전력산업구조개편 추진이 추춤해 투자효과를 확신하기 어려운 것이 두 번째 이유다.

하지만 민자발전의 확대는 필요하며, 또 발전시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것이란 지적이다. 최근 한전의 발전자회사들이 경영합리화를 위해 투자를 꺼려하는 상황이며, 향후 완전경쟁이 이뤄질 경우 이러한 투자기피 현상이 두드러져 결국 늘어나는 전력수요를 보충할 전력생산을 민자발전이 담당하게 될 것이란 분석에서였다. 이는 아직은 그 규모가 적으나 시장에서 담당할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기존의 발전회사와 매각이 추진되고 있는 남동발전이 민간회사로 전환되는 때가 오면 민자발전사업는 그 규모는 적으나 전력시장에 있어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고 기존 체제에 대한 견제와 협조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전력거래 시장에 꾸준히 회원수가 늘고 발전사업에 대한 노하우를 쌓으려는 노력이 계속된다면 민자발전사업도 그 규모와는 별도로 발전시장에서 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민자발전에 대한 꾸준한 투자를 요구하는 것이 현 시대의 흐림이라고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