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열린 국정감사에서 발전회사의 중국탄 도입 비율 상승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지적 이후 각 발전사가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각 발전사의 연료구매담당자들은 연료구입선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현실이다.

한전으로부터 분할한 2001년부터 올해까지 5개 발전사들이 중국으로부터 도입한 유연탄은 총 도입량 대비 평균 5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전회사 분리 이전의 40%에 비해 10%이상 상승한 것이다.

분할 이후 각 발전사 간에 경쟁체제가 도입돼 자체비용 절감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차지하는 연료비 문제는 결국 발전사들의 경제성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됐다.

또 한전은 발전회사의 경영실적 평가시 연료구매가격을 평가지표로 하고 있어 발전회사의 입장에서 경제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남부발전 연료전략팀의 박주환 과장에 따르면 "발전사 분할 이전에는 각 발전사 간에 경쟁체제가 도입될 이유가 없었고, 이런 점으로 인해 중국, 호주, 인도네시아,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현재보다 다양한 국가에서 연료를 구입할 수 있었다"고 한다.

분할 이후 9개월간 발전회사들은 약2천억원의 자체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산업연구원이 수행한 발전분할 성과분석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자체비용 절감의 이면에는 발전연료의 도입가격을 낮추기 위해 저렴한 중국산 유연탄 유입의 상승이 있었고, 이는 발전사들이 중국 유연탄에 의존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5개 발전회사가 발전연료용으로 전량 수입하는 유연탄은 작년의 경우 총 4천만톤에 달하고 중국, 호주,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으로부터 도입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중국산의 경우 거리의 근접성 등의 이유로 그 의존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중국탄의 수입이 증가한 이유는 매우 다양하다. 지난 여름 유럽지역의 혹서로 인해 냉방수요가 늘어나 러시아와 그 외 국가의 유연탄이 유럽으로 대량 유입됐다.

또 최근 계속되는 운임비 상승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워 운임비가 덜 드는 중국탄의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이유도 있다.

중부발전의 경우 올 6월말까지 총 도입물량 382만톤 중 60.4%(234만톤)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어 중국의 유연탄 생산상황에 따라 발전연료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는 상황이며 이는 다른 발전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지난 8월 중국 산서성 대동지역에서 석탄광산 폭발사고가 일어나면서 석탄생산이 중단됨에 따라 이 지역 중국탄을 발전 연료로 사용하던 발전사는 수급불안으로 전력공급에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지난 국정감사에서도 발전사들의 중국탄 의존 심화로 인한 문제점이 지적됐으며, 유연탄 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입선의 다변화가 필수라는 의견이 팽배하다.

이에 따라 각 발전사들은 나름대로 대책을 찾으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마땅한 대책을 찾기가 힘든 실정이다.

남동발전의 경우 전체 도입량 중 50% 넘는 비율을 중국탄에 의존하다가 중국 산서성 폭발사고로 일정기간 공급이 지체되는 등 타격을 입게 돼 그 후로 인도네시아 등에서 신규탄을 도입하기 위해 고려 중이며 남전 역시 중국의 의존을 벗어나기 위해 러시아와 인도네시아와의 수입을 단계적으로 늘리려 하고 있다.

특히 서부발전은 지난 23일 인도네시아와 연간 총 100만톤 규모의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이뤄 유연탄 공급원 다원화 노력의 첫 결실을 맺게 됐다. 이에 따라 최근 대두되고 있는 중국탄 공급 의존도 상승으로 인한 유연탄 수급차질 우려를 대폭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밖에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저유황 인도네시아탄의 안정적 도입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유연탄 수급안정 및 연료비 절감은 물론 환경친화적 발전소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탄 의존의 상승에 대비한 서부에서와 같은 수입선 다변화 정책과 함께 '공동구매에 의한 도입'과' '비상시 상호 대여' 등의 대비책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발전사 관계자들은 "이같은 대책은 한전에서 분할한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라며 일축하고 있다. 향후 5개 발전자회사의 경쟁체제를 잘 활용할 수 있는 근본적인 연료구매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우경 기자 wkk@epnews.co.kr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