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견된 반발이었다. 63인의 서울대 교수들이 원전수거물관리센터를 서울대 교내에 유치하자는 내용을 정운찬 총장에게 건의한 데 대해 발표 직후 다수의 즉각적인 반발 반응들이 표출됐다.

서울대 교수들의 갑작스런 기자회견에 '참신하다'는 느낌을 받은 이들도 많고, 오죽하면 교수들이 자신들의 교내에 짓겠다고 했겠냐며 이해하려는 입장도 많다. 하지만 국내 최고의 지식인들이 아무런 협의나 대안 없이 이러한 의견을 발표한데 대해 역시 '학자답다'며 답답해하는 이들도 있다.

원전수거물관리센터를 서울대 교내에 유치한다고 해서 서울대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 그리고 그에 따른 반발이 발생할 것이라는 점 모두 누구보다도 교수 본인들이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적 이슈로 떠오른, 그것도 찬반 논란이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정책 문제를 언론에 공식 발표했다는 것은 용기 있는 학자적 양심의 표출이라고 봐야 한다.

부안사태의 근원이 바로 민주적 절차의 결여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민들의 의견 수렴이 없었다는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어떻게든 원전수거물관리센터 건립을 성사시켜야 하는 국내 원자력계의 입장에서 보면 매우 고마운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어떻게 보면 정부에서 짊어져야 할 위험부담을 학자들이 대신 진 것이다. 이번 사안을 계기로 정부도 반성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어차피 필요하다면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나서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부안사태에서 보듯 조금은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는 반대에 부딪치는 한이 있어도 이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토론과 합의라는 민주주의의 '기본'과 '원칙'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면 분명 '히든카드'를 손에 쥘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