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종 환경유해물질 농도 분석 결과…1.94µg로 9.6% 증가
소변 중 프탈레이트·니코틴 대사체 감소…비스페놀-A는 늘어

우리나라 성인의 혈액과 소변에서 환경유해물질 농도를 조사한 결과 3년 전과 비교할 때 혈액 중 납 등 4종은 다소 높아졌고, 수은은 비슷했다. 소변 중 프탈레이트 대사체류, 코티닌 등 11종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진원)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실시한 ‘제2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전국에서 표본 추출한 400개 지역(읍·면·동 수준)의 만 19세 이상 성인 6500명을 대상으로 혈액과 소변 중에서 총 21종의 환경유해물질 농도를 분석했고 설문을 통해 가능성 있는 노출요인을 파악했다.

조사 결과 혈중 납은 1.94µg/㎗로 지난 조사 결과(1.77µg/㎗)에 비해 9.6% 증가했으나 과거 10년간의 경향을 보았을 때 변동 폭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수은은 3.11µg/ℓ로 지난 1기(3.08µg/ℓ)와 비슷했고, 건강위험성이 예상되어 노출 저감노력이 필요한 초과자(독일 건강영향 권고값, HBM-II)는 121명에서 88명으로 감소했다. HBM-II 권고값은 해당 농도 이상인 경우 민감한 계층에서 건강위험성이 예상돼 노출 저감노력이 필요한 수준으로 혈중 수은은 15.0µg/ℓ다.
혈중 수은은 미국과 캐나다에 비해 높았으나 우리나라와 식습관이 비슷한 일본(8.5μg/ℓ)과 홍콩(3.65μg/ℓ)보다는 낮았다.

소변 중 수은과 카드뮴은 모두 0.38µg/ℓ, 0.38µg/ℓ로 제1기(수은 0.53µg/ℓ, 카드뮴 0.58µg/ℓ)에 비해 각각 28.3%, 34.5%씩 감소했다.

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로 알려진 비스페놀-A의 소변 중 농도는 지난 조사에 비해 약 1.5배 증가(0.75→1.09µg/ℓ)했으나 미국, 캐나다에 비해 높지 않고 작년부터 강화된 건강영향 권고값(HBM-I)*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HBM-I 권고값은 지난해부터 2500µg/ℓ에서 200µg/ℓ로 강화됐다. 또한 컵라면, 캔음식 등 가공식품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다른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인 프탈레이트 대사체 조사 결과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대사체(MEHHP+MEOHP) 농도는 29.6µg/ℓ로 지난 조사에 비해 18% 낮아졌고, 독일 건강영향 권고값(HBM-I 750µg/ℓ)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독일은 DEHP 대사체 2종(MEHHP, MEOHP) 농도를 합산해 HBM-I 제시하고 있다.

프탈레이트 대사체류는 지난 조사에 비해 모두 감소했다. 이는 2010년 환경부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벤질부틸프탈레이트(BzBP)를 유독물질로 지정하고, 식약처도 식품보관용 용기에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정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직접 또는 간접 흡연에 의해 나타나는 소변 중 코티닌(니코틴 대사체, 5.5µg/ℓ) 농도가 지난 조사(11.3µg/ℓ)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설문 결과에서도 직접흡연이 22.5%에서 17.9%로, 간접흡연도 21.3%에서 15.2%로 감소했다. 이 결과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내 흡연율 조사결과(2005년 28.8%→2010년 27.5%→2013년 24.1%)와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012년 금연구역 지정·확대 등 정책 시행의 효과로 보인다.

유승도 환경보건연구과장은 “지난 조사에 비해 체내 일부 환경유해물질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보건 정책 추진과 국민 인식 변화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며 “앞으로도 지속 관찰과 함께 원인파악을 위한 노력을 통해 환경유해물질 노출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과 환경통계포털(http://stat.me.go.kr)을 통해 2월 중에 공개되며, 또한 조사에서 사용된 설문과 분석결과 등 원시자료도 개방·공유·소통·협력을 추구하는 정부3.0 정책에 따라 환경보건포털(http://envhealth.nier.go.kr)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