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산업인력양성 계획 발표…894억9천만원 지원
자율주행車·무인기 등 신산업 석박사급 1700명 양성
공학인재 4300명·지역 맞춤형 실무인력 500명 육성

산업통상자원부는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주도하기 위해 산업인력 양성을 내용으로 하는 ‘2017년도 산업인력양성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계획은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 고도화에 대한 대응능력 제고, 산업계와 대학간 실질적인 협력체계 강화 및 고도화의 2대 추진방향 하에 ▲신산업 고급인력양성 신규 투자 확대 ▲산업구조 조정 대응 및 고도화 인력양성 강화 ▲현장중심 공학교육혁신 지속 추진 ▲지역 맞춤형 실무인력양성에 기업-대학 간 협력 강화 ▲산업인력양성 중장기 정책방향 정립의 5대 추진과제로 시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5대 과제에 총 894억9000만원을 지원하고 석박사급 1700명 및 학부 4800명 등 총 6500명 산업양성이 목표다. 이번 계획은 저성장 및 산업구조조정 등으로 인해 기존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으나 새로운 산업 창출과 일자리 생성의 기회도 공존하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해 마련했다.

특히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Big data) 도입이 확산되면서 소비자 맞춤형 1:1 생산, 전공정 자동화 등 생산체제의 혁신 및 일자리·직무능력 변화가 가시화해 해외 선진국이 관련 직업·직무역량 연구·교육에 집중지원하고 있음을 감안했다.

강성천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미래 신산업을 개척하고 기존 산업의 고도화를 담당할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산업계와 학계가 실질적으로 협업해 우수 인력을 길러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신산업 고급인력양성 신규 투자 확대 = 산업부는 신산업 분야 인력양성 확대를 위해 미래형자동차, 무인비행장치 분야 인력양성을 신규 추진하고 바이오, 로봇 등 신산업분야 고급인력 양성에 집중 투자한다.
올해 신규로 2021년까지 5년간 자동차·정보통신기술(ICT) 융합형 핵심기술 전문인력 180명을 양성해 스마트카 핵심부품 산업의 고급인력을 공급한다. 올해 미래형자동차 연구개발(R&D)전문인력양성 예산은 15억원이다. 또한 올해 신규로 무인기(드론)에 정보기술(IT),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융합형 전문인력 200여명을 육성한다.
2015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첨단센서 분야에서 중소기업 사물인터넷(IoT) 가전개발 등에 응용 가능한 감지(센싱) 소자를 중심으로 산업맞춤형 현장인력을 양성한다.
로봇분야에서 기업참여 설계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창출형 석사과정, 학부생·취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융합 단기 집중교육과정 등으로 현장밀착형 인력 180명을 배출하고 디자인분야에서 기획에서 디자인, 생산, 유통 등 전 과정을 이끌어갈 디자인-공학 융합형 석·박사급 전문인력 45명을 교육한다.

◆ 산업구조 조정 대응 및 고도화 인력양성 강화 = 구조조정 퇴직인력의 경력 개발 및 전환을 적극 지원하고 스마트 공장 등 직무능력의 혁신이 필요한 분야 인력 양성도 강화한다.
액화천연가스(LNG) 연료추진선 설계, 스마트선박 기자재 국제인증 교육 등을 통해 중·고급 퇴직 인력의 해외 유출을 예방하는 데 주력한다.
200명 직접고용(강사, 기술자문 등), 교육(설계/공정/용접 1740명), 취업지원(100명) 등 퇴직 인력(2040명)을 중소·중견기업 매칭 및 기업 지원으로 퇴직인력의 현장경험 유지 및 취업률를 높일 방침이다. 여기에는 올해 173억원을 신규로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핵심 기반기술 개발 및 정보기술(IT), 자동화기술(AT), 운영기술(OT)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운영설계를 위한 석·박사급 전문인력 225명 양성을 위해 올해 15억원을 신규로 반영했으며 2021년까지 지원한다.
엔지니어링 분야 연구센터(EDRC)를 통해 기업수요 50과목 개설 등 산업계 수요 반영 전문인력 341명도 양성한다. 글로벌 리더급 설계역량 보유 인재양성을 위해 2014년 6월 설립된 서울대 엔지니어링 개발연구센터(EDRC)는 엔지니어링 기업-공과대학간(29개 대학, 55개 기업) 공동 참여해 산학 프로젝트 수행 중심으로 현장형 인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재직자 전문 재교육 등으로 직종변경, 퇴직인력 재활용 등 지원하고 있다.

◆ 현장중심 공학교육혁신 지속 추진 = 정부는 현장실무 공학인재 양성의 참여기업을 150개 이상 확대하고 학교-기업 간 연계망을 강화하기 위해 산학연추진단을 활용한다.
이를 위해 현재 추진 중인 캡스톤 디자인 참여기업을 1200개社 이상으로 확대하고 혁신센터별 차등 지원을 통해 성과를 높일 방침이다.
교육을 넘어서 산학이 화학적으로 융합된 형태의 공학교육혁신지원 중장기(2018~2022년) 추진전략을 수립한다.
공학실무역량 평가제도는 2016년도 시범 시험(TEST), 기업만족도 조사를 기반으로 평가제도를 활용할 기업과 양해각서(MOU)를 추진하고 평가 분야를 확산함으로써 사업 활성화를 추진한다. 공학실무역량 평가제도(TOPEC)는 공학인력이 산업현장에 필요한 실무역량을 보유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모델 개발·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화학분야를 시범 개발 중이다.

◆ 지역 맞춤형 실무인력양성에 기업-대학 간 협력 강화 = 지역 맞춤형 실무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 내 기업수요 선(先)조사-산업인턴 후(後) 연결(매칭)으로 지역에 활력 산업 창출 분야 발굴 및 지역 내 인력 불일치를 해결하는 등 기업-대학간 협력을 강화한다.
중소·중견기업 연구개발(R&D) 산업인턴 인원을 지난해 300명에서 올해 54억8900만원을 지원 500명으로 확대하고 매칭의 질적 향상으로 취업 연계성을 강화한다,
기업연계형 연구개발 인력양성에서는 12개 컨소시엄에 39억원을 지원하고 참여 학생의 70% 이상 동종업계 취업을 목표로 한 실무형 인재 양성 추진 및 지방기업·대학의 사업 참여를 확대할 예정이다.

◆ 산업인력양성 중장기 정책방향 정립 = 산업부는 올해 계획에 이어 중장기 정책을 통한 체계적인 산업인력 양성을 추진할 예정이다.
올 상반기 미래 산업수요 전망을 실시하고 4차 산업혁명 대비 인력정책 비전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래산업전망을 통해 새 일자리 및 직무역량을 발굴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중장기 인력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미래 신산업 인력수요 전망 추진프로세스로 유망 신산업 내 시급한 인력공급 분야 세부 업종을 선정하는 등 신산업 정의 및 범위를 설정하고 현황조사를 통해 국내외 신산업 관련(로봇, 무인기 등) 인력 사례 조사(직무전환, 신규 인력 수요 등), 업종별 현재 인력현황 조사, 해당 사례별 필요인력 규모 및 직무 변화 등 전망한다. 이어 해당 사례별 필요인력 규모 및 직무 변화 등 전망을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