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산·학·연 전문가 전문가 간담회 개최
산업기술인력 일자리 비중 50%로 증가 전망

전기·자율차, 에너지신산업 등 정부가 미래 유망산업으로 육성중인 신산업이 전문기술인력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한국기술센터 21층 중회의실에서 성강천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이수영 KAIST 교수, 이상욱 한양대 교수, 이진면 산업연구원 본부장, 전재식 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변동철 산업기술진흥원 산학협력단장 등 산·학·연 전문가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 유망 신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신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전망과 신산업 투자기업의 일자리 관련 성공사례 및 애로사항을 중점 논의했다.

산업연구원은 산업부가 지난해 12월 선정·발표한 △전기·자율차 △스마트선박 △IoT가전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 소비재 △에너지신산업 △신소재 △AR·VR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반도체 등 12대 신산업에서 2025년까지 38만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했다.

12대 신산업 종사자 수는 2015년 20만3000명에서 2020년 36만2000명, 2025년 58만5000명으로 연평균 11.2%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전체 종사자 중에서 연구개발·품질검증·생산기술 등 전문성을 보유한 ‘산업기술인력’의 일자리 비중이 2015년 40% 수준에서 2025년 50% 수준으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구조 변화 및 신기술 발전에 따라 사무직·서비스직 등 지원인력보다는 전문성을 갖춘 고급 기술인력 중심으로 일자리가 재편됨을 의미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신기술이 빠르고 불확실성이 높게 변화하고 있어 향후 신산업 분야 연구개발·설계인력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회의에 참석한 빅데이터, 원격의료,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 투자기업 대표들은 새 정부의 공공 부문 일자리 창출(81만개)과 함께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자리 창출효과가 큰 12대 신산업에서 대다수 일자리(38만개)가 창출될 전망으로 기업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가 ‘일자리위원회’를 중심으로 더욱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구체적으로는 역량있는 전문인력 양성, 다른 산업으로부터의 유연한 인력이동 지원, 법·제도 등 인프라 확충, 정부와 연구기관의 새로운 기술개발(R&D) 지원 등을 요청했다.

강성천 산업정책실장은 “규제개선과 R&D 자금 집중지원(5년간 7조원), 네거티브 방식 규제완화, 세제지원 등 집중지원으로 일자리 창출효과가 높은 12대 신산업을 중심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기업의 고용유발형 신규투자를 유도해 나갈 것”이라며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실무 중심의 산업인력 교육·양성 사업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