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차 전력수급 계획에 포함 2022년 착공목표
문대통령 방중때 사업추진을 위한 MOA 체결

전력공급 위기시 스와핑 통한 수급 조절 가능
북방경제위원회 주도 한전 최근관련 T/F 구성

한전이 동북아 수퍼그리드(전력계통연계) 구축 사업 성공적 추진을 위해 SPC(특수목적법인)을 만들기로 하고 준비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도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해 지난 연말 확정한 제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동북아 수퍼그리드 SPC 발족 내용을 포함 시켰다.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문재인정부 임기 마지막 해인 2022년 착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데 시간상 너무 촉박해 유럽처럼 우선 SPC 설립을 통해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해 나갈 계획이다.

동북아수퍼그리드는 정부 차원에서 외교부-통일부-기재부-산업부 등으로 구성된 북방경제협력위원회가 주도하고 있는데 실질적인 사업 수행은 한전이 맡고 있다. 동북아 전력계통연계는 한-중-일-러-몽골등 5개국을 연결 하는 사업이다.

한-중-일은 예비 타당성 조사를 마쳤으며 사업규모는 500kV 해저케이블 800km로 사업비는 약5~7조원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문재인 대통령 방중때 한국과 중국은 수퍼그리드 추진을 위한 MOA를 맺고 첫단추를 뀄다. 중국은 전력망 연계를 통한 자국의 전력 수급 해결 및 동북아 지역 영향력 강화를 위해 사업 추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전망이다.

한-중 연계사업은 중국의 산서성등지에서 약350km 해저 HVDC 해저케이블로 우리나라 경기·충청 서해안 까지 구축이 예상된다.

한·일 연계사업은 양국의 전력요금 차이가 큰 점을 감안 해야 하는 등 전력수출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다.

사업은 일본 큐수 일원에서 우리나라 경남지역에 HVDC 해저케이블 약230km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전은 사업 준비를 위해 최근에 수퍼그리드 추진 T/F를 발족하고 실무 진영체제를 갖췄다.

일본의 경우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만이 독자적으로 뛰고 있었으나 정부 차원에서는 아직 미미하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안정적·경제적 전력 수급을 위해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몽고의 풍력단지등에 철도등 기반시설이 전혀 구축되어 있고 각국 전력계통 문제도 다르고 요금체계, 전력거래 등 많은 문제가 상존하고 있어 사업추진시 신중한 접근이 요망된다”고 충고한다

또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사업의 장기성, 불확실성, 대규모 투자 등을 감안 할 때 보다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사업모델 발굴이  필요하다”는 점을 덧붙인다. 또한 “단기적 전략으로는 국가간 협의체 구성을 통한 동북아 전력협력관계를 증진시키고 중장기 전략은 국가간 공동연구를 통한 사업전략수립 및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서야 한다”는 점도 강조한다.

우리나라는 전력분야에서는 고립된 섬이나 마찬가지여서 동북아 수퍼그리드가 구축될 경우 계통 운영 측면에서는 평상시에는 예비율 공유로 계통한계 가격을 낮출 수 있고 전력 공급 위기시에는 전력 스와핑을 통한 전력 수급을 조절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