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연구원, 관련 보고서 발표

중소기업연구원(원장 김동열)의 김광희 수석연구위원은 ‘韓·獨 스마트팩토리 정책 비교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중소기업포커스 제18-21호)를 발표했다.

주요 경쟁국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4년 이후 ‘제조업 혁신 3.0전략’의 일환으로 제조공장의 스마트화를 추진해오고 있으며, 신정부도 2022년 까지 스마트팩토리 2만개 보급을 목표로 스마트팩토리 추진 정책을 더욱 강화해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스마트팩토리 구축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반면, 어떤 시스템을, 어떻게, 어느 수준으로 도입할지 몰라 불안감이 높다. 아직 국제표준이 정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의 투자가 향후 확장성이 없을 경우 매몰비용(sunk cost)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높다. 공급기업의 역량 역시 크게 미흡한 수준이어서 공급기업의 기술수준에 대한 불신도 크다. 이 같은 상황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보급사업은 낮은 단계의 생산정보 디지털화 정도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독일은 스마트기술의 산업현장 적용,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4.0 (Mittelstand 4.0)’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3개의 ‘중소기업4.0-역량센터’를 구축하여 컨설팅 및 기술이전이 용이토록 하고 있으며, 350여개의 모범사례를 온라인 지도를 통해 상세하게 제공하여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효과를 실감케 하는 등 수요기업 중심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R&D과제 추진에 있어서도 중소기업의 투자회수성을 감안한, 중소기업에 적용될 수 있는 프로토타입 형태의 솔루션이나 디바이스 개발을 지향하고 있다.

우리의 스마트팩토리 보급사업이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보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구축비용 및 효과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하여 투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수요기업이 자기에 맞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는 안목을 갖도록 하는 시책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수요기업 중심의 시책은 현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촉진하게 함으로써 수요-공급간의 괴리를 없앨 수 있으며, 공급업체간의 경쟁을 유발해 시장을 통한 공급산업의 경쟁력 제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관련 우수 연구소 및 기업을 중심으로 지역별 컨설팅센터를 지정, 운영하는 등 컨설팅 역량을 대폭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모범사례 및 업종별 학습형 스마트팩토리의 조속한 확대로 중소기업의 투자마인드 및 학습기회를 제고해야 한다. 셋째, 모듈형 제품 보급 확대로 스마트팩토리화에 대한 부담을 경감해야 한다. 넷째, 모듈화 및 업종별 플랫폼을 구축하여 중소 전문업체들이 모듈형태로 플랫폼에 참여하여 기술향상을 기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스마트팩토리 선진국과 교류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수요기업에게는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공급기업에게는 갈라파고스 현상의 발생 방지 및 해외진출의 기회를 높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여섯째, 양성 및 재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확충이 시급하다. 대학의 스마트팩토리 계약학과 개설 등을 통한 인력 양성과 더불어 현직 및 퇴직 인력의 재교육을 통해 전문인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