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특단 대책 안 나오면 올해 말 2조 5천억원 적자 예상

전력산업계 발주물량 크게줄어 아우성 에너지밸리 기업타격
한전본사 매각 10조5500억원, UAE 원전수익도 점차 소진돼
에너지 구입비용 줄이고 원전등 해외전력 산업수출만이 살길
정부 전기요금인상시행 가장빠른 해결책, 제대론된 정책펴야

16일 국감을 앞둔 한전의 심사는 착찹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몇 년동안 한전의 국감은 큰 이슈없이 무난한 국감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올해는 적자 공기업으로 전락했고 에너지 전환이라는 큰 산을 만났으며 상당한 부담을 떠안게 되는 한전공대,전기 누진제등 한전 혼자서 해결할 수 없는 과제만 쌓여 있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지금 한전이 부닥치고 있는 모든 현안들은 한전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 것들로 자체적으로 아무리 용을 써봐도 완전 해결은 불가능 하다.
현재 한전의 적자 규모는 1조 2천억원이며 특단의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적자폭은 계속 늘어 연말이면 2조5천억원 정도 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이미 지난 2014년 서울 삼성동 한전 본사 부지 매각 대금 10조5500억원은 거의 소진 됐고,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해외 원전 수주로 번돈도 한계에 달하고 있고 올해 전기요금 3단계로 줄어든 누진제 및 보상등으로 급격한 손실을 입었으며 원전, 석탄을 대신에 태양광,LNG등 발전단가가 높은 값비싼 에너지 구매 비용을 치르다 보니 수익구조 악화를 피할 수 없는게 현실이다.

이처럼 한전의 경영악화 원인이 외부에서 비롯 되다보니 현 상황을 헤쳐 가는데 한계가 있다보니 답답할 수 밖에 없다. 전기요금 인상은 정부가 틀어 쥐고 있고 전력구입 단가도 마찬가지다.

현재의 상황을 타개 하기 위해 한전은 허리띠를 졸라 매는 긴축경영에 돌입 했지만 죽어 나는 것은 한전 협력업체들이다. 한전 발주가 크게 줄어 드는 바람에 일감이 없어 관련 업체들은 아우성이고  얼마 안가 경영을 포기하는 업체들이 늘어 날수 있는 형국이다.

사실상 전력.전기등 에너지 업계를 먹여 살리고 있는 한전이 곳간이 텅비다보니 업계의 시름이 깊어 가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한전은 자체적으로 예산을 절감하면서 현 상황을 타개 하려고 하지만 한계에 봉착하고 있는 것이다. 지방 공기업 이전의 성공적인 모델이 된 한전이 의욕적으로 추진한 에너지 밸리 기업들도 한전의 긴축 경영을 피해갈 수 없다.

에너지밸리 기업들이 온갖 고난을 무릅쓰고 나주로 입주한 데는 한전 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그런데 최근 발주가 예년에 비해 절반 정도 밖에 안되다 보니 에너지 밸리 입주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 되고 있다.

한전은 고부가가치 에너지 기업 중심으로 올해 말 까지‘기업 집적’이라는 에너지 밸리 조성의 새로운 방향성을 가지고  350개사와 협약 체결 목표 아래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지금의 상황으로는 기업 유인책이 통할까 하는 의문이 든다.

한전의 적자 구조를 흑자로 전환 하고 지금의 상황을 타개 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기요금 인상과 함께 에너지 구매 비용을 줄일수 있는 장치 마련과 함께 사우디 원전 수주등과 같은 전력산업의 해외 수출을 늘리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혹시 한전이 어려움에 빠질 경우 국민 세금으로 메꿔야 할 뿐더러 관련 협력업체들의 구조 조정등으로 전력산업의 미래가 불투명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