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산업진흥회 급부상, 정부 적극적 지원이 관건

화재 원인 실증시험 중 국내 용량 절반 운전 중지
배터리-PCS-시공업계 이해관계 대립 해결 어려워

나주 에너지밸리에서 2년전부터 ESS(에너지저장장치)에 들어가는 PCS등 부품을 개발, 생산,해외진출까지 염두에 뒀던 Y사장은 최근 사업을 접고 서울로 귀경 했다.

Y사장이 사업을 그만둔 가장 큰 이유는 ESS화재에 대한 명쾌한 답이 나오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고 그에 따른 여파가 2년이상은 갈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ESS화재에 대한 원인 과연 명백히 밝혀질수 있을까.

현재 배터리-PCS-시공업계가 서로간에 화재 원인에 대해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상황하에서 ESS화재 조사위원회가 제대로된 답을 내놓기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것이 관련업계의 분석이다.

일단은 화재 원인이 한 업계에 밝혀질 경우 EPC기업들은 그 업계에 대해 현재 운전 정지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개연성이 높아 섣불리 지목할 경우 법정 다툼까지 갈 것이 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제껏 국내 ESS 사업은 구심점이 없이 중구난방으로 추진 되다보니 화재원인에 대해서도 관련기관간의 언론 발표도 달라 혼선을 초래하고 정책 집행도 제때에 이뤄지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따라 정부는 ESS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 산업을 이끌어 나갈 단체로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장세창)를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만약 한국전기산업진흥회가 ESS 관련업무를 정부로부터 위탁받아 수행할 경우 화재로 인해 현재 국내 용량의 절반정도가 운전정지  되고 있는 현실에서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산업도 제궤도를 찾아갈 전망이다.
현재 ESS화재는 원인규명을 위해 ESS 화재 조사위원회가 활동하고 있다.

 ESS화재 조사 위원회는 국가 기술표준원 (기표원)을 중심으로한 제작사를 제외한 한전, 한전kps, 전기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 학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현재 실증시험을 통해 원인을 찾아내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현재까지 ESS화재는 국내에서 모두 21건이 발생되었는데 화재마다 원인이 달라 조사위원회는 케이스별로 조사 및 분석 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ESS화재는 전기적 충격에서부터 배터리, PCS 등 고장원인이 너무 다양해 모의 운전설비 운영을 가정한 전반적인 실증시험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전은 ESS설비를 주파수조정(FR)용으로 14개 사이트, SG 스테이션 127 개소, 신재생연계용 3개소 등을 운영하고 있는데 화재 조사위원회의 조사가 끝날 때 까지는 운영을 잠시 중단 중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