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말 미래형자동차 산업기술인력 5만여명

산업부(장관 성윤모)는 2018년말 기준으로 미래형 자동차 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근로자 10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관련 관리자, 기업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이다.

이번 조사는 대표 신산업분야인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형자동차 산업의 빠르게 변화하는 인력 구조와 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16년(조사기준시점 : ’15년말)부터 산업기술진흥원 및 산업연구원과 함께 실시하고 있다.

참여기업 현황을 살펴 보면, 미래형자동차 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1,740개로 추정되며 미래형자동차 분야 매출 비중은 참여기업 전체 매출의 22.9% 수준이다.
 
미래형 자동차 산업 참여기업은 ‘15년말 166개에서 ’18년말 1,740개다. 미래형 자동차 산업 참여기업의 미래형자동차 매출 비중은 ‘15년말 5.3%에서 ’18년말 22.9%이다.

분야별로 보면 참여기업 중 78.0%는 친환경차 분야에 해당하며, 매출액도 미래형 자동차 사업 중 친환경차가 53.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참여기업 구성(‘18년말)은 그린카 78%, 스마트카 12.7%, 인프라 9.3%이다.

업종별은 자동차 업종이 과반(50.9%)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전자·IT(29.8%), 화학(9.9%), 기계(4.7%) 등의 순서다. 참여단계는 제품 판매·납품(73.4%) 및 서비스 운영(15.5%) 단계에 있는 참여기업 비중은 `15년 대비 확대된 반면, 사업 초기 단계(연구기획, 연구개발 등) 기업 비중은 하락했다.

또 연구기획(5.4% → 0.7%), 연구개발(22.3% → 5.5%), 시제품 생산(7.8%→3.4%), 완성품 생산(5.4% → 1.6%), 제품 판매 및 납품(56.0% → 73.4%), 서비스 운영(3.0%→15.5%)이다.

선호인력은 참여기업이 산업기술인력 채용시 고려하는 역량은 전문성이며 전공은 기계·자동차 공학을 가장 선호한다. 역량은 기업에서는 채용 시 전문성 및 업무 경력을 가장 고려하고, 현장 중심의 숙련 인력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은 모든 분야에서 기계·자동차 및 전기·전자 공학 전공자를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스마트카·인프라 분야 기업은 컴퓨터 공학 전공자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다.

증가사유는 이번 재조사 결과, 미래형자동차 인력은 △친환경차를 중심으로 △신규 기업 참여 증가와 기존 기업의 매출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연구개발 직무 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급증한 것으로 파악된다.

참여 기업은 친환경차 분야의 매출비율이 크게 상승하였고, 이는 사업 초기단계에서 성장단계로 전환함에 따라 매출이 확대된데 기인한다. 국내 승용차 시장의 그린카 점유율은 ‘15년 2.8% → ’18년 8.2% 상승했다. 그린카(HEV, EV, FCEV) 신규등록 추이(자동차산업협회, ‘19) : ‘15년 42,001대에서 ’18년 12만4,979대다.

시사점은 정부의 전략적 신산업 육성 정책이 민간 투자 활성화와산업간 융복합 등을 통해 산업 성장 및 고용 확대로 이어짐을 시사하고 있다.

산업 분포를 살펴보면, 자동차 50.9%, 그 외 산업 49.1%로 이종 산업간 활발한 융복합을 통해 내연기관차에서 친환경차로 산업 구조가 전환되면서 유망 신산업으로 성장하는 경로를 확인했다.

인적구성 또한 전자 및 IT 산업 분야 인력의 진입 등 이종산업의 근로자가 모여 산업간 융복합을 지원하고 있는 형태로 나타났다.

향후 정책방향을 살펴보면 산업부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미래형 자동차의 산업계 인력 미스매치 해소와 지속적인 혁신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단계별 인력 양성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참여 기업들은 △이종 산업간 융합형 교육 확대 △기술주기 대응을 위한 재직자 중심 상시교육 체계 마련 △현장 중심의 커리큘럼 운영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바 지난해 10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2030년 국가 로드맵’을 바탕으로 △IT 융합에 기반한 자율주행차와 친환경차 분야에 대한 융합형 핵심 R&D 인력 양성 확대 △기술노후화가 빠른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고숙련 재직자 전환교육 체계화와 부족률이 높은 학사 인력 양성체계 점검 △성장단계에 맞는 분야별 커리큘럼 확대 개편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