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가스공사 물량확보 실패가 원인, LNG 직도입 고려해봐야

LNG 수요는 10월부터 당초 계획보다 월간 30만t 이상 웃돌아 지난 9월 수립된 수급계획에 비해 내년 초 동절기까지 약 200만t 가량의 공급부족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10월부터 11월말까지LNG 사용량은 발전 부문 128만3,000t, 도시가스 부문 204만3,000t으로 지난 9월 수립된 수급계획에 비해 각각 28만8,000t, 34만7,000t 가량을 웃돌았다.

정부는 이처럼 LNG 사용량이 크게 늘어난 것은 추위가 예년보다 일찍 찾아와 도시가스 부문의 수요가 증가한 데다 경제 급전 원리에 따라 가격이 싸고 효율이 좋은 LNG 연료의 소비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자부와 가스공사는 LNG 수급 차질 해소를 위해 추가 물량 확보를 시도했으나 일본 등의 추가 수요 발생과 인도 등 일부 생산국의 설비이상으로 LNG 국제현물시장에 품귀현상이 벌어지면서 물량 확보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10월1일부터 11월26일까지 전력소비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1.1% 늘었고, LNG는 50.7%나 증가한 가운데 발전용 LNG는 80.7%, 도시가스용은 36.3% 각각 늘어났다.

또 일본이 12기가 넘는 원전의 가동을 중단, LNG 발전비중이 높아지면서 세계 LNG 현물시장에 품귀현상이 생긴 것도 원인이 됐다.
그러나 산자부는 지난달 월동기 에너지수급 대책을 통해 LNG의 이번 동절기(10월∼3월) 수요가 1,165만t, 공급이 1,183만t으로 수급에 문제가 없다고 발표한 것은 잘못된 수요예측이라는 지적을 면하기는 어렵게 됐다.

당초 LNG 부족물량은 올해 94만t을 비롯해 2003년 122만8,000t, 2004년 245만7,000t, 2005년 187만3,000t, 2006년 292만1,000t 등으로 추산된 바 있다.

LNG 수급 불안에 대한 대책으로 일부 화력발전소를 대체 유류로 전환해 일시적인 해결을 모색하고 있으나 대체 연료를 써야 하는 발전소의 상황은 좋은 편이 아니다.

대부분의 LNG발전소가 수도권 인근에 몰려있어 수도권의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발전을 중지할 수가 없는 상태다. 또 청정연료인 LNG를 대신해 사용하는 유류조달에도 녹록치가 못한 상태다.

대체연료로 쓰이는 등유, 경유, 벙커-C 등의 국내 유류 재고가 넉넉하지 못한 상태다. 일본에서 LNG와 더불어 저유황벙커-C유 등의 소비가 많아 유류 상황도 좋은 편이 아니다. 또 환경규제가 엄격해져 이산화황 배출기준인 180ppm이하를 맞추기 위해 황함유량이 낮은 유류를 연료로 사용해야 한다. 실례로 저유황B-C를 연료로 사용하는 평택기력의 경우 국제적으로 물량을 확보한다고 하더라도 수송선박의 수배가 어려운 상황으로 12월과 내년 1월을 연료조달의 최대 고비로 보고 있다.

신인천복합은 150㎿ 2기가 경유로 대체되며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은 처음이다. 울산복합의 경우도 제1복합은 등유로 2복합은 발전정지상태다. 1,150㎿의 인천화력도 중유로 대체되며 황함유가 낮은 연료 수급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이번 LNG수급 부족사태에 관해 한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인해 제약연료인 LNG를 독점공급하는 가스공사가 일차적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96년말에 이어 이번에도 부족사태가 발생함으로 장기적으로는 LNG의 직도입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산자부는 유류대체와 특별한 이상저온이 없는 한 올 겨울철 LNG 및 전력수급에 큰 장애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스공사에서도 프랑스, 나이지리아, 동남아 등지에서 메이저와 협력을 통해 스팟물량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는 있으나 운반선박이 부족해 상당히 힘든 상황이다.

이번 사태에 대해 에너지분야 한 전문가는 “연료비 순서로 계통에 병입되는 현재의 전력거래시장에서 비싼 유류를 소비하는 것은 발전회사 측면에서도 부담이 된다”며 “LNG의 독점공급이라는 비경제가 이번 사태를 초래한 만큼 연료도입선의 다변화와 가스공사의 민영화도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사상 유례가 없는 LNG 수급부족 사태가 예견되는 올 겨울 전력이 부족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체유류의 적기 수급과 조속한 대책마련으로 만일에 발생할지도 모를 미연의 사태를 막기 위해 가스공사, 발전사, 산자부는 고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