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에너지계에 있어서 가장 큰 화두는 대체에너지 개발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에너지 다각화 문제는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사안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막대한 외화를 들여 에너지를 수입해 왔다. 이렇게 수입한 에너지는 모든 산업의 연료 및 원료로 쓰이고 있으며 우리 경제전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더구나 기후변화협약 같은 국제적인 협약은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닌 우리 사회의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이는 결국 각 국의 경제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제2의 우루과이 라운드가 될 전망이다.

따라서 이에 대비한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대체에너지 방안이 강구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2010년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95년도 수준으로 동결할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 49.3%의 감축이 요구된다. 이 수준에 맞추게 될 경우 경제에도 영향을 미쳐 GNP 연평균 14.8%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가운데 에너지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은 전체의 82.5%에 이르고 있어 에너지절약이 온실가스 배출저감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너지절약 및 대체에너지 보급, CO2 저감 기술 개발과 국내외 홍보 등을 추진하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계의 자발적인 조기실천을 유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또한, 대체에너지원의 경우 아직까지 전체 에너지소비량 가운데 1.4%의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대체에너지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한 1988년이래 연평균 18.1%의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전망이 어둡지만은 않다.

이에 따라 에너지관리공단은 작년 2월 대체에너지보급센터를 발족했으며, 오는 2011년까지 전체 에너지 수요의 5%를 대체에너지로 공급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대체에너지시범마을, 태양광주택 3만호 보급, 대체에너지 발전가격 차액지원 등 다각적인 보급지원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에너지관리공단의 한 관계자는 "대체에너지의 경우 국민적인 인식의 미비로 겪는 어려움이 있는 만큼 향후 정부 차원의 정책적인 지원과 홍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