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정우 의원, 스마트그리드 정책토론회 개최
스마트가전 보급 확대·수입장벽 대응 등 지적도

ICT를 활용한 스마트그리드를 가정용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그리드 기반 스마트홈 에너지 기술표준 확보와 스마트가전 보급 등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 길정우 의원(가운데)은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정용 전력수요관리를 위한 스마트그리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황우현 한전 SG&신사업처장은 1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길정우 의원(새누리당) 주최로 열린 ‘가정용 전력수요관리를 위한 스마트그리드 정책토론회’에서 “전국에 가정용 스마트그리드 모델을 적용하면 피크부하 1630㎿ 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적 편익은 9조3000억원이 발생할 것”이라며 “한전이 중소기업과 함께 개발한 스마트플러그만 활용해도 전력 수요 예측을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황 처장은 “2020년까지 AMI 100% 보급 완료, 스마트홈 연동기술 개발, 상호운용성 확보 등 스마트그리드 기반 스마트홈 에너지 기술표준 확보가 필요하다”며 “스마트미터와 Dymamic Pricing은 스마트가전보급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소비자의 관심증가와 HEMS·BEMS 등 EMS 보급 활성화, 전국단위 AMI보급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며 “미국 환경보호청은 냉장고, 세탁기 등 에너지효율성 마크 의무화 및 품목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스마트그리드 수입장벽에도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황우현 처장은 스마트그리드 사업화 모델로 가파도 마이크로그리드,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주파수 조정용 ESS, 전기차그리드 충전서비스, 서남해 해상풍력, 스마트그리드 종합운영시스템 등을 꼽았다.

주제발표에 이어 길정우 의원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서 김종철 산업부 전력진흥과장은 “가정용 SG정책은 이미 네가와트 시장이 개설되면서부터 시작됐다”며 “소규모 태양광이나 가정용 ESS를 통해 한전과 전력을 상계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이달내 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회철 에너지관리공단 건물에너지팀장은 “정부는 지난해 8월 ICT기반 에너지 수요관리 신시장 창출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며 “가정에 스마트플러그를 보급해 대기전력 차단, 전력사용량 모니터링, 원격 전원제어 등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그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가전은 국내 일부 기업에서 앱 연동 제품을 개발했지만 데이터분석을 통한 에너지절감방안도출은 걸음마 단계”라며 “300가구에 대해 스마트플러그 시범 설치 및 실증추진으로 스마트플러그 표준시스템 검증, 에너지 소비 데이터 수집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대경 에기평 기술기획팀 PD는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는데 구식 제도를 적용하면 신산업 창출은 불가능하다”며 “스마트그리드는 창조산업을 위한 필수 인프라인 만큼 에너지 정책의 발전도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나딤 세이크(Nadeem Sheikh) Opower社 아시아-태평양·일본 총괄사장은 ‘소비자를 위한 ‘스마트’한 스마트그리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미국, 프랑스, 일본에서 Opower社가 진행한 수요관리 프로그램을 소개하기도 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길정우 의원은 “스마트그리드의는 미래 에너지의 핵심적인 대안이지만 내년도 관련 예산은 219억원에 불과하다”며 “일본, 중국, 미국 등이 전력수요관리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그리드 정책에 집중하는 만큼 우리나라도 국가의 장기적인 에너지 수급 정책을 정확하게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