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바탕 범국민 안전 공감대 확보에 주력
상생·합의 바탕 공공 커뮤니케이션 사업 역점

“전문성을 바탕으로 장인정신(Mastery)과 자율적인 태도(Autonomy)를 가진 능동적인 업무수행을 통해 작지만 강한 ‘원자력·에너지 소통기관’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김호성 이사장은 1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공공기관으로서의 책임의식(Responsibility)과 투명한 운영(Transparency)을 윤리적 이념으로 공론형성을 통한 범국민 ‘공감성(Sympathy)’ 확보를 목표로 운영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천천히 서둘러라(Festina lente)’라는 로마인의 금언이 좌우명입니다. 현 시점에서 기관장으로서 재단 운영에 가장 중시하고 있는 것은 재단이 전체 공공기관 중 가장 모범적인 클린기관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도덕성을 바탕으로 국민의 중지를 모아가는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지난 1월 원자력문화재단 신임 이사장으로 취임한 김 이사장은 ‘안정과 조화’ 속에서 ‘변화와 발전’을 강조했다. 원자력문화재단은 최근 5년간 인력과 예산이 약 44% 기량 감소하면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이를 계기로 재단의 공공성을 높이는 전기를 마련하겠다는 게 김 이사장의 포부다.

“올해는 현장동행, 정책공감, 사회적 합의를 위한 사업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그간 현장시찰, 공모전 등 일방적인 원자력 홍보사업이라는 비판을 받은 사업은 폐지하고, 원자력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비용을 저감해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으로 재탄생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입니다.”

김 이사장은 원자력에 대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가칭)원자력에너지미래포럼, 토론회, 정책조사 등 상생과 합의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공공 커뮤니케이션 사업’에 역점을 두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올해 3월 재단이 실시한 정기 여론조사 결과 원자력 필요성은 89.4%로 후쿠시마 사고와 국내 여러 사건을 겪은 후에도 여전히 높은 반면 필요성을 제외한 4개 지표는 모두 과반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원자력의 안정적인 전기공급 등 경제적 효용성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상대적으로 ‘기후변화문제 해결’과 ‘공기오염 완화’에 대해서는 각각 41.4%와 39.1%로 인식이 낮았습니다.”

김 이사장은 그간 원전이 ‘안전 프레임’에 너무 갇혀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기후변화와 평화통일 기반 구축 차원의 전력산업 미래와 한반도 에너지안보에 대비해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호성 이사장은 “재단 직원들에게도 ‘재단이 이제는 되겠구나’하는 희망과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원자력문화재단은 지난 11일 청년인턴 6명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평가기준에 의해 선발했으며, 6개월간의 순환근무 후 직무능력과 전체 직원이 참여하는 평가를 통해 일반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