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42개소로 확대

보건복지부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총 27개에서 42개 응급실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병원 응급실에 배치된 전문 상담인력이 자살시도자에게 전화 또는 방문상담을 제공해 자살재시도를 예방하는 사업이다. 2013년 8월부터 2015년까지 사업을 분석한 결과 자살시도자의 사망률을 절반이하로 낮춘 성과가 입증됐다.

보건복지부는 사업수행기관을 공모・심사한 결과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 15개 응급실에서 추가 실시하게 됐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시행하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는 치료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기금으로 지원되는 치료비는 1인당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되며 총 지원액이 지난해 2억5000만원에서 올해 4억원으로 확대됐다.

삶의 막다른 골목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가 새로운 삶을 찾은 사례들도 많다.
전라북도 익산시 20대 여성 A氏는 14살 때 어머니가 집을 나간 후 알코올중독에 걸린 아버지와 어렵게 살다 아버지마저 돌아가시자 음주와 자해, 자살시도를 반복했다. 응급실에서 만난 사례관리자는 A氏에게 의료비를 지원받도록 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입원치료를 받게 하는 한편 알코올 의존도를 낮추도록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연계했다. 소식이 끊어진 어머니를 다시 만날 수 있도록 돕고 거의 매일같이 A氏와 전화 상담을 한 결과 지금은 아르바이트를 하며 사회복지사와 미용사가 되겠다는 꿈을 키우고 있다.

제주대학교 병원에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운영 중인 응급의학과 강영준 교수는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들은 자살시도로 인한 상처나 중독을 치료하는 것 못지않게 사후관리가 중요하다”며 “응급실을 나간 후 다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정신과 치료나 사회・경제적 지원 등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