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도로·가스발전 사업 전력확보가 필수적

전력계통보강,발전소 건설등 모든 방법 강구
정부·한전 등 산·학·연 T/F구성, 세부사항지원
전력분야 국내 기술력최고 남북 합의가 중요

4.27 판문점선언 이후 북한의 전력 인프라 구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대북경제정책인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실현을 위한 과제로 남북간 철도, 도로 연결을 포함, 발전소 건설 등을 추진하려면 전력공급이 최우선 되어야 함은 자명한 이치다.

동해선과 경의선 철도를 연결하고 고속철을 도입 하려면 지금의 북한의 전력사정으로 불가능하며 조기에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인 가스 발전소를 짓는다 해도 마찬가지다.
모든 경협 사업은 일단 전력을 확보하고 추진하는 것이 순서이기 때문이다.

북한의 전력난을 완화하고 품질 좋을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남한에서 생산한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계통연계가 가장 바람직스러운 방법중의 하나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시절 개성공단을 가동할 때 문산변전소에서 개성까지 154kV로 공급했다. 그러나 이때는 1단계서 스톱되는 바람에 더 이상 전압을 높이지 않았지만 개성공단이2-3-4 단계로 확대되었다면 계통전압도 345kV로 격상시킬 계획도 가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통계청의 2016년 기준 남·북한의 전력생산 능력 격차는 약 14배이며 연간 발전량 격차도 23배 이상을 나타내고 있고 이러한 차이는 점점 더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철도를 ‘나라의 동맥’이라고 여기는 북한에서 조차 남북경협으로 철도를 현대화 시키려는 노력을 구체화 시키기 위해서는 일단은 전력확보에 매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한전, 관련업계, 학계, 연구기관 등 전력관련 기관들이 T/F를 시급히 만들어 계통전압에서부터 AC/DC로 연계할 것인지, 154kV-345kV-765kV 등 전압 승격등 설계-시공 등 모든 사항을 고려한 추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충고다.

이와함께 발전소를 짓는 경우에는 원자력, 화력, 그리고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LNG 까지  검토하여 북한 실정에 맞는 에너지원을 찾아 나가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내에서는 송전선로나 발전소등을 건설할 때 민원등으로 인해 사실상 사업 추진이 큰 벽에 부딪치지만 북한의 경우 이러한 장애요인이 적어 시행만 된다면 적기준공을 맞추는 데는 이상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미 한전이나 관련업계는 전력계통기술이 확보되어 있고 발전소 건설에서도 상당한 기술축척의 위치에 있어 남북간의 합의만 선행된다면 어느정도 북한의 전력사정을 나아지게 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