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부하 담당 원전, 석탄 발전원의 급격한 퇴출은 전력위기 발생 초래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 중요하지만 발전효율낮아 한계성 고려

연일 전력 피크치 경신으로 전력수급 비상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정비를 끝내고 원안위 승인을 받아 긴급 투입된 신월성 1호기(18일)-신고리 4호기(21일)-월성3호기(23일)등 원전3기 215만kw의 전력공급은 전력 위기에 숨통을 트여줄 지원군이 되고 있다.

이처럼 오버홀로 멈춰있던 신월성 1호기등 원전재가동을 포함 대용량 고객등과의 협조체제 구축, 전력설비 사전점검, 신속복구 체계구축 등 전력예비율이 10%대 안팎을 보이고 있어 다소 안도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아직 폭염을 넘어선 열돔 현상이 나타나는 등 전력수급 부족 현상이 최대 고비를 넘기지 않고 남아 있어 긴장속에서 만반의 준비를 갖춰야 2011년 9월에 일어난 순환 정전 같은 전력대란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공통된 인식이다.

특히 지금의 전력위기는 ‘경제급전’에서 '환경급전'으로 바뀌면서 과도기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경제급전은 석탄·원자력 등 값싼 발전원들이 기저부하를 담당하고 요즘 떠오르고 있는 값비싼 LNG·양수 발전원은 피크부하를 위해 건설·운영되었다.

그러나 작금의 에너지 정책은 기후환경에 대응키 위해 탄소배출을 막기 위해 석탄 발전을 줄이고 LNG나 태양광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도로 바뀌고 있는 것이 과거와 다르다.

그러나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발전효율이 크게 떨어져 피크시간대에는 발전 기여도가 특히 낮은 것으로 조사 되고 있어 지금과 같은 전력위기 상황에서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핵심 기저부하를 관리하는 원자력, 석탄 발전을 급격하게 축소 하는 일은 경제성을 떠나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해치고 전력피크부하 상황에서는 신중함을 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말 정부가 발표한 9차 전력수급계획에서도 올해 최대전력수요를 90Gw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 2018년 여름 최대 전력수요 92.5GW보다 낮게 잡아 논란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전력피크부하예측시 너무 보수적이기 보다는 이상 기후에 대비하고 4차산업혁명, 전기자동차 수요 급증 등 미래에 대비한 수요 예측시스템을 만들어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