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공모 제대로 진행돼야 윤곽 드러날 듯
경영난 타개할 능력 가진 강력한 수장 원해

지난 19일 정승일 사장이 이임식을 거행한 후 현재 한전은 이정복 경영관리부사장의 직무대행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한전은 비상경영회의를 하면서 적자구조 등 난국 타개를 위해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지만 현재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가 내부 해결이 아니고 정치적인 판단이 작용해야하는 전기요금 추가 인상 등 난제여서 어려움에 봉착에 있다.

매일 이자만도 100억원이 넘게 발생되고 이대로 가면 한전채 발행도 연말이 되기전에 30조원을 넘겨 한계상황에 도달할 것으로 보여져 자금 경색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서는 큰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창사이래 최대 규모인 25조원이 넘은 자구책은 건물 매각, 인건비 삭감 등이 들어 있는데 인건비는 전체 예산의 3% 정도에 불과해 임직원의 사기만 떨어뜨리고 수조원의 건물매각도 지금의 경영상태를 호전시킬 방책이 될 수 없다는 것.

전체적으로 보면 한전 예산의 75%는 전력구입비에 사용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유지보수, 건설등 경상비용인데 이들 비용을 줄일 경우 전력산업계에 미치는 파장은 불 보듯 뻔하다.

그러나 지금의 한전의 입장은 전력산업계를 배려할 만큼 여유롭지 않기에 점차 업계를 압박할 수 있는 강력한 대책이 나오고 있고 파장도 커지고 있다.

한전이 긴박한 공사가 아니면 건설 예산도 줄이고 있으며 유지보수 예산도 앞으로 절감이 예상되고 있어 관련업계는 경상예산에 칼을 뺀 것이 아닌가 하는 위기 의식을 느끼고 있다. 이는 당장 한전으로 봐서는 예산 절감노력에 당장 효과를 낼 수 있는 주요한 카드인데 비해 관련업계로서는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상황이 된다.

이래서 한전의 경영난을 타개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은 전기요금 추가 인상이 해결책인데 과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수장의 탄생을 기대하면서 한전 및 전기산업계는 조용하게 동향을 살피고 있는 중이다.

현재 자·타천으로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차기 한전 사장 인사로는 관료로 박근혜정부 시절 산업부 기획조정실장 및 에너지 실장을 지내고 현재 법무법인에 근무하고 있는 K씨, 산업부 차관과 한수원 사장 등을 역임한 C씨, 학계에서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 산업부 에너지 위원, 인천대학교 교수인 S씨, 대한전기학회 회장, 전기위원회 위원장, 한양대 공대 교수 출신인 K씨다.

그러나 공모가 진행된 후 윤곽이 잡히는 경우가 많아 아직은 차기 한전 사장을 예상하기란 쉽지 않다.

정승일 사장 사퇴로 한전은 이른 시일내에 사장을 선임한다는 계획하에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사회를 개최, 사장 선임 절차등을 확정한 후 면접 등을 거쳐 공운위에서 3배수 이상을 추천, 주총에서 최종후보자를 확정, 산업부장관 제청과 대통령 임명 순서를 밟는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